오행(五行)의 방위소속(方位所屬)과 응용-목(木), 화(火)
오행(五行)을 보면 보이는 것이 있는가 하면 보이지 않는 것도 있으며, 살아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죽은 것도 있으며, 큰 것이 있는가 하면 작은 것도 있게 마련이니 여러 방면으로 응용하기를 바란다.
(1) 방위소속(方位所屬) 목(木) 응용
목(木)을 비유하여 본다면 나무 중에서도 살아 있는 나무가 있는 가 하면 죽은 나무도 있으며, 큰 나무가 있는가 하면 작은 나무도 있으며, 강한 나무가 있는가 하면 약한 나무도 있으며, 또 양지의 나무도 있으며, 음지의 나무도 있고, 하늘의 나무가 있는가 하면 땅의 나무도 있으며, 보이는 나무가 있는가 하면 보이지 않는 나무도 있게 되는데 이는 꼭 나무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오행(五行)에 다 적용되고 있으니 많은 연구가 있기를 바란다.
보이지 낳는다고 하는 것은 형이상학적인 면으로 화(火)를 비유하여 보면 화기(火氣)는 눈으로는 보이지 않으나 느낌으로 뜨겁고 따스함을 아는 것이니 이와 같은 것을 보이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는 비단 화기(火氣)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목(木).금(金).토(土).수(水)도 똑같이 적용되고 있으니 명심하기를 바란다.
보편적으로 우리가 생각할 때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라고 하면 오행(五行)으로서 완전한 것으로 알기 쉬우나 이것도 세분해서 살펴보면 각 오행(五行)은 다른 오행(五行)들도 함께 갖추고 있으나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기(氣)를 가지고 있는 것이 대표가 되고 있는 것이다.
(2) 방위소속(方位所屬) 토(土) 응용
토(土)를 세분하여 본다면 흙 속에는 물도 있고 철분도 있으며 화기(火氣)도 있고 목기(木氣)도 있으나, 그 중에서도 토기(土氣)가 가장 많기 때문에 토(土)라고 하는 것이다. 다른 오행(五行)도 다 같은데 만약 이와 같이 오행(五行)이 다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그 기는 죽은 것이 되어 자기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 연유인즉 토(土)의 경우를 보면 흙 속에는 수(水)가 있기 때문에 뭉쳐기는 힘을 가졌고, 화(火)의 기운이 있기에 만물을 성장시키는 능력이 있는 것이며, 또 목(木)의 기운이 있기 때문에 분열하여 산소의 기능을 하며, 금(金)인 철분이 있기에 만물을 결실하는 능력이 있게 되는 것이다.
목(木)의 경우에는 만약 나무에 수기(水氣)가 없으면 어찌 나무가 생명을 지속할 수 있겠으며, 화(火)가 없어 따스한 기운이 없다면 나무는 성장할 수가 없는 것이며, 금(金)인 금기(金氣)가 없다면 나무는 견고 하지를 못하고 또한 결심도 할 수 없으며 토(土)가 없다면 어찌 나무가 뿌리를 내릴 수 있겠는 가. 이와 같은 이치를 볼 때 개체적으로는 완전한 것 같으나 서로가 필요로 하여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행(五行)은 개별적인 작용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만나는 상대에 따라 작용이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오행(五行)은 다시 분열의 법칙에 의하여 목(木)은 양목(陽木)과 음목(陰木)으로, 화(火)는 양화(陽火)와 음화(陰火)로, 토(土)는 양토(陽土)와 음토(陰土)로 금(金)은 양금(陽金)과 음금(陰金)으로, 수(水)는 양수(陽水)와 음수(陰水)로 각각 변화하게 된다.
가) 목(木)
목(木)은 계절로는 봄에 해당하여 따뜻하고, 방위로는 동방(東方)이며, 색으로는 청록색이며, 하루로는 새벽에 속하고, 천간(天干)으로는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이요, 지지(地支)로는 인목(寅木)과 묘묙(卯木)이 되며, 수리로는 삼팔(三八)이며 맛으로는 산(酸)이다.
성격으로는 곡직(曲直)과 경사(慶事)며 인정(仁精)과 희열(喜悅)에 해당하며, 인체로는 간(肝)이요 담(膽)이며 신경(神經)이요 수족(手足)이며 견(肩)이요 인후(咽喉)며 두(頭)요 흉(胸)이며 촉각(觸覺)이요 모발(毛髮)이며 안목(眼目)이요 풍질(風疾)등에 해당하고 있다.
자연으로 보면 동량지목(棟樑之木)이요 무근지목(無根之木)이며 삼림(森林)이요 양유목(陽柳木)이며 초목(草木) 지엽(枝曄).근(根).묘목(苗木).창기(蒼氣).뢰(雷).풍(風).난(暖)등 이다.
직업으로는 목재.가구.목각.합판.화원.악기.문방.문구.지물.죽세(竹細).의류.섬유.약제.제지.분석.장대(長大)며 보사부. 예능. 문교. 교육 등에 해당하고 있다.

나) 화(火)
화(火)는 계절로는 여름에 해당하고 덥고 방위로는 남방이며 색으로는 적색과 홍색 그리고 자색이며 하루로는 낮이요 천간(天干)으로는 병화(丙火)와 정화(丁火)이며 지지(地支)로는 사화(巳火)와 오화(午火)이며 수리로는 이칠(二七)이요 맛으로는 쓴 것이다.
성격으로는 정직하고 바른말을 잘하며 예의와 명량이며 희열과 염상(炎上)이요 솔직이며 직언. 이산(離㪚). 조급. 달변 등에 해당하고 있는 것이다. 인체로는 심장이요 소장(小腸)이며 정신과 체온이요 혈압. 시력. 열. 설(舌) 등에 해당하며 또 자연으로 태양이며 월(月)이요 성(星)이며 불이요 뇌선(雷電)이며 광채요 자외선과 적외선이며 노치지화(爐治之火) 요 등촉화(燈燭火)며 조갈. 건조. 화려. 우족류(羽族類). 폭발물. 서(署) 등에 속한다.
직업으로는 동자부(動資部) 화공화약유류(油類). 항공. 난방. 섬유. 화학. 전기. 가전제품. 한전(韓電). 광선. 페인트. 체신부. 산림청. 상공부. 과기처(科技處). 문공부 등에 해당된다.
'띠운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지지 천간 응용 (0) | 2023.10.06 |
---|---|
오행(五行)의 방위소속(方位所屬)과 응용-토(土), 금(金), 수(水) (0) | 2023.10.06 |
오행의 근원과 이해, 방위소속 응용 (0) | 2023.10.05 |
음(陰)과 양(陽)의 이해 (0) | 2023.10.05 |
사주학(四柱學) (0)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