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띠운세

오행의 생과 극 상생

by 띠운세 2023. 10. 11.
반응형

오행(五行)의 생(生)과 극(剋)

오행(五行)에 있어서도 각 오행과 대비하여 나를 생(生)하여 주는 오행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내가 상대방을 생(生)하여 주는 오행이 잇으니 이를 생(生)이라고 한다. 반면 나를 극(剋)하여 오는 오행이 있는가 하면 내가 상대방을 극(剋)하는 오행이 있으니 이와 같은 관계를 극(剋)이라고 하는 것이다.

가) 상생(相生)

(1) 수생목(水生木)

(2) 목생화(木生火)

(3) 화생토(火生土)

(4) 토생금(土生金)

(5) 금생수(金生水)

상생(相生)이라 함은 서로가 생(生)하여 준다 서로가 생(生)함을 받는다 서로가 (生)한다는 뜻으로 서로가 돕다 낳다 희생하다 주다 나가다 발생하다 얻다 받다 도와주다는 뜻으로 통한다. 생(生)이라 하여 꼭 생자(生字)에만 집착하고 고집한다면 공부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를 테니 명심하기 바란다.

 

㉮상생(相生)의 계절 순환작용

상생(相生)이란 계절의 순환작용 임과 동시에 부모와 자손의 관계도 되고 있어 천륜이라 할 수 있다. 또 생(生) 중에서도 유정지생(有情之生)과 무정지생(無情之生)이 있는데 유정지생(有情之生)은 필요한 생(生)이 되어 길한 것이 되고 있으며 무정지생(無情之生)이란 필요치 않은 생(生)이 되어 흉(凶)이 되고 있는 것이다. 

 

상생(相生)을 자연의 관계로 살펴보면 목(木)은 화(火)를 생(生)하고 화(火)는 토(土)를 생(生)하며 토(土)는 금(金)을 생(生)하고 금(金)은 수(水)를 생(生)하며 수(水)는 목(木)을 생(生)하고 있는 것이다.

목화생(木火生)하는 목(木)은 봄으로서 화(火)인 여름을 생(生)하고 화생토(火生土)하는 화(火)는 여름으로서 토(土)인 장하(長夏)를 생(生)하며 토생금(土生金)하는 토(土)는 장사(長夏)로서 금(金)인 가을을 생(生)하며 금생수(金生水)하는 금(金)은 가을로서 수(水)인 겨울을 생(生)하며 수생목(水生木)하는 수(水)는 겨울로서 목(木)인 봄을 생(生)하고 있다. 이렇듯 생(生)은 계절의 순환 작용임과 동시에 시작도 끝도 없이 서로를 생(生)하여 주고 있는 것이다.

 

㉯상생(相生)의 하루

상생(相生)을 하루로 비유하여 보면 새벽 목(木)은 낮의 화(火)를 생(生)하고 낮의 화(火)는 긴 낮을 거처 금(金)의 석양의 생(生)하며 석양의 금(金)은 밤인 수(水)를 생(生)하며 밤의 수(水)는 또다시 목(木)인 새벽을 생(生)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상생(相生)의 사람

상생(相生)을 사람으로 비유하여 보면 목(木)의 부모는 수(水) 요 목(木)의 자손은 화(火)이며 화(火)의 부모는 목(木)이요 화(火)의 자손은 토(土)이며 토(土)의 부모는 화(火)요 토(土)의 자손은 금(金)이며 금(金)의 부모는 토(土)요 금(金)의 자손은 수(水)요 수(水)의 부모가 자손을 낳고 또 자손이 자손을 낳는 것이 상생(相生)과 같아 부모와 자손의 관계라고 하는 것이다.

 

㉱상생의 보호

목생화(木生火)는 목(木)은 화(火)를 생(生) 하나 화(火)는 목(木)을 보호하여 주게 되는데 목(木)으로부터 생(生)을 받은 화(火)는 금(金)을 화극금(火剋金)으로 극제하여 목(木)이 금(金)으로부터 극제를 받지 않도록 보호해 준다.

화생토(火生土)는 화(火)는 토(土)를 생(生)하나 토(土)는 화(火)를 보호하여 주니 화(火)로부터 생(生)하나 토(土)는 수(水)를 토극수(土剋水)로 극제하여 화(火)가 수(水)로부터 극제를 받지 않도록 보호하여 주는 것이다.

토생금(土生金)은 토(土)는 금(金)을 생(生)하여 주나 금(金)은 토(土)를 보호하여 주는데 토(土)로부터 생(生)을 받은 금(金)이 목(木)을 금극목(金剋木)으로 극제하여 토(土)가 목(木)으로부터 극제받는 것을 보호하여 준다.

금생수(金生水)는 금(金)이 수(水)를 생(生)하여 줌으로써 수(水)는 금(金)을 보호하여 주는데 금(金)으로부터 생(生)을 받을 받은 수(水)는 화(火)를 수극화(水剋火)로 극제하여 금(金)이 화(火)로부터 극제받는 것을 보호해 준다.

 

㉲상생(相生)과 공생(共生)

상생(相生)은 공생(共生)과도 같은 것이니 양적(陽的)인 면으로는 목생화(木生火)가 틀림없으나 음적(陰的)인 면으로 화생목(火生木)도 될 수 있다. 이를 논하여 보면 목(木)은 화(火)를 생(生)하여 주나 화(火) 여름에는 목(木) 나무가 성장하고 있으며 화생토(火生土)는 화(火)를 토(土)를 생(生)하여주나 토(土)는 화(火)의 기운을 흩어지지 않게 오래도록 보존하고 있다. 그 이유는 땅속에서 지열(地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토생금(土生金)은 토(土)는 금(金)을 생(生)하여주나 금(金)은 토(土)에 철분(鐵分)을 주어 만물을 결실케 하며 금생수(金生水)는 금(金)은 수(水)를 생(生)하여 줌으로써 수(水)에 의하여 쇠에 강도를 조절하여 금(金)의 수명을 연장케 하여 수새목(水生木)은 수(水)가 목(木)을 생(生)하여 줌으로서 목(木)은 수(水)를 흡수하여 서서히 방출함으로써 수(水)의 범람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오행(五行)의 생(生)과 극(剋)

반응형